2023년 4월 26일, 윤석열 대한민국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한미동맹 70주년을 기념하여 특별 교육 교류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한미 양국이 총 6,000만 달러의 예산을 공동 투자해 운영되는 본 계획은, 2,023명의 한국인과 2,023명의 미국인의 교류를 통해 양국의 과학·기술·공학·수학(STEM) 분야 인재들의 유대를 심화시키고 교육 협력을 강화하는 내용을 포함합니다.
이 중 한미 양국 정상 공동성명에 따라 풀브라이트 장학 프로그램을 통해 선발하는 STEM 분야 장학생은 200명으로, 역사상 최대 규모입니다. ‘이공계 첨단분야 대학원 장학 프로그램’은 이같은 한미 양국의 이공계 인재 교류협력 계획에 따라 2023년 신설되었습니다.
‘이공계 첨단분야 대학원 장학 프로그램’은 한국과 미국 정부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STEM 분야 미국 석박사 학위과정 유학 장학금이며, 장학 프로그램에 지원하는 다음 해인 2026년 가을학기 미국 대학에서 석사 또는 박사 과정 유학을 희망하는 지원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이공계 전 분야 지원 가능하며, 바이오, 반도체, 배터리, 양자, AI, 우주 등 핵심 신흥기술 분야를 우대합니다.
본 프로그램은 우수성 기반 (merit-based)의 장학금이며, 개인의 재정적 필요는 선발 시 고려 대상이 아닙니다. 우수성은 과거의 학업성취, 공인점수 뿐만 아니라 대외활동, 미래에 기대되는 성취와 사회적 기여 등을 포괄하는 기준으로, 장학생 선발 근거로 활용됩니다. 또한, 희소 분야 전공, 학교, 학교 소재지역, 해외 경험 등 소수집단을 대표하고 다양성에 기여할 수 있는 지원자를 선호합니다.
2026년 가을학기에 미국 대학원에 입학할 수 있는 지원자라면, 대학원에 이미 합격한 자와 지원 예정자 모두 지원이 가능합니다. 대학원에 이미 합격한 자는2026년 가을학기로 입학 유예가 가능할 경우에만 풀브라이트 장학 프로그램 지원이 가능합니다. 대학원 지원 예정자는 풀브라이트 장학금 합격자 발표 전후로 진학을 희망하는 대학원에 직접 지원해야 합니다.
서류와 면접 심사를 거쳐 선발된 지원자는 장학 수혜 후보자 자격으로 본인이 진학을 희망하는 미국 대학원을 자유롭게 선택해 지원할 수 있습니다. 한미교육위원단은 후보자의 학교 선택 및 지원 과정에 관여하거나 특정 학교 진학을 의무화하지 않으며, 후보자의 자율성을 보장합니다. 풀브라이트 장학금은 장학생 후보자가 지원한 학교에 합격한 이후 최종 수혜 여부가 확정됩니다.
지원자는 석사와 박사 중 하나의 학위 과정을 선택해 지원할 수 있습니다. 석사를 선택할 경우 석사 학위 과정에만, 박사를 선택할 경우 박사 또는 석박사 통합과정에만 진학 가능합니다. 장학 프로그램 합격 이후 학위 과정 변경은 불가합니다.
지원자는 풀브라이트 장학 프로그램 지원 시 학업계획서에 기술한 전공으로만 진학이 가능합니다. 장학 프로그램 합격 이후 전공 변경은 불가합니다.
장학금은 학위 과정 프로그램이 시작되는 시점으로부터 1년간 지급되며, 수혜자의 학업 성취도와 예산에 따라 1년 단위로 1회 연장 (총 2년 수혜)이 가능합니다.
한미교육위원단은 2017 년부터 탈북청년 대학원 장학프로그램을 신설하여 학문적으로 경쟁력 있는 북한이탈 청년들에게 석사 및 박사 학위취득 기회를 제공합니다. STEM 전공 북한이탈 청년 지원자를 위한 상세한 규정은 한미교육위원단 (02-3275-4039) 으로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
A. 자격사항
국적
대한민국 국민 (미국 이중국적자 혹은 미국 영주권 소유자가 아닌 지원자)
병역
남성의 경우 유학 직전까지 군복무를 필하거나 면제받은 자로, 장학생 선발과정이 요구하는 모든 절차에 응할 수 있는 지원자
학력 / 학점
4년제 대학 기졸업자 또는 2026년 2월 학사학위 취득 예정자
장학금 합격 후 2026년 2월까지 학사학위를 취득하지 못할 경우 수혜 자격 상실
편입/재학중/졸업한 학부 및 대학원 각각 평균학점 기준을 충족한 지원자 (3.0/4.0, 3.225/4.3, 3.375/4.5 이상)
예) 석사 재학생/졸업생의 경우, 학사 평균학점 미충족, 석사 평균학점 충족할 경우 지원 불가
어학성적
2026년 2월까지 유효한 TOEFL iBT 또는 IELTS Academic 점수 소지자
TOEFL iBT 88점 또는 IELTS Academic 6.5점 이상
TOEFL iBT 의 경우 My Best Score 인정하지 않음, IELTS Academic의 경우 One Skill Retake 인정하지 않음
원활한 풀브라이트 J-1 비자 발급을 위해 장학금 수혜 시작일 3개월 전부터 한국에 거주할 수 있는 지원자
2026년 4월부터 장학 수혜 전까지 국내 체류 권장
해외 체류로 인해 J-1 비자 발급에 결격 사유가 발생할 경우 수혜 자격 상실 (상세 요건은 주한미대사관 영사과에 문의)
장학금 수혜 후보자 대상 오리엔테이션 (2025년 9월 중순 예정), pre-departure 오리엔테이션 (2026년 6월 중순 예정)에 참석 가능한 지원자
비자
풀브라이트 J-1 비자로 미국에서 학위과정을 이수한 이후, 미국 취업 또는 이민비자 신청 전 2년 본국 (한국) 거주 요건을 충족할 수 있는 지원자 (상세 규정 확인하기)
B. 지원 부적격자
미국 체류
풀브라이트 온라인 지원서 제출 시점 기준 최근 6년간 미국에 5년 이상 연속적으로 체류한 자 (A candidate who has resided in the U.S. for five or more consecutive years in the six-year period preceding the date of application)
1역년 (calendar year) 중 9개월 이상 미국에 체류한 자는 해당 연도에 1년 미국에 체류한 것으로 간주함
연중 9개월씩 5년 이상 미국에 체류한 경우 5년 이상 미국에 연속적으로 체류한 것으로 간주함
풀브라이트 온라인 지원서 제출 시점에 미국에 체류중인 자
2026년 8월 이전 미국 대학원에 진학할 예정인 자
비자 / 학위취득 이후 계획
풀브라이트 J-1 비자 발급에 결격 사유가 있는 자 (상세 요건은 주한미대사관 영사과 문의)
J-1 비자의 2년 본국 거주 규정 충족 전 미국 취업, 이민, 영주권 등의 목적으로 비자를 취득할 계획이 있는 자
학위 과정
(Degree Level)
소지한 학위와 동일한 수준의 학위 과정에 지원하는 자
예) 석사 학위를 소지하고 있는 자는 소지한 학위 과정의 전공과 다른 전공이라 하더라도 석사 학위 과정 지원 불가
원서 접수 기간 내에 지원하는 학위 과정과 동일한 수준의 학위 과정을 2학기 초과 등록/이수한 자
예1) 석사 학위 과정을 3학기 이상 등록/이수한 자는 석사 학위 과정 지원 불가
예2) 박사 학위 과정을 2학기 이하 이수한 자는 박사 학위 과정 지원 가능
장학금 합격 후 지원하는 학위 과정과 동일한 수준의 학위를 취득하는 자
소지한 학위 과정과 동일한 수준의 학위 과정에 진학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수혜 자격 상실
미국 정부 장학금
풀브라이트 온라인 지원서 제출 시점 기준 과거 5년 동안 미국 정부 장학금을 수혜한 경험이 있는 지원자
WEST, UGRAD 수혜자는 지원 가능
소속
한미교육위원단, 미대사관, 미국무부 직원 및 직계 가족 (해당 직원 퇴직 후 1년까지 본 요건 적용)
C. 선호대상 지원자
첨단분야 지원자 (바이오, 반도체, 배터리, 양자, AI, 우주 등)
학문적으로 우수한 지원자
희소 분야 전공, 학교, 학교 소재지역 등 소수집단을 대표하고 다양성에 기여할 수 있는 지원자
해외에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적은 지원자
배우자 또는 직계 가족이 동일 기간 내에 미국 정부의 장학금을 수혜하지 않는 지원자
A. 지원 및 선발 일정
내용
일정
원서접수
2025. 4. 1 (화) ~ 5. 20 (화) 5pm (KST), 구비서류 우편접수
* (1) 풀브라이트 지원서 및 (2) 한미교육위원단 지원서는 온라인 작성 및 제출
서류평가
2025년 6월
영어 면접
2025년 7월 중순 ~ 8월 초 (7월 중 면접 대상자 개별 연락)
최종 합격자 발표
2025. 9. 19 (금) 5pm (일정 변경 가능)
합격자 Orientation
2025. 9. 24 (수)
* 합격자 필참 대면 행사, Accuplacer 시험 진행 예정 (일정 변경 가능)
Pre-Departure Orientation
2025년 6 중순 (합격자 필참)
장학금 수혜 개시
2026년 8월-9 월 (출국 및 대학원 진학)
B. 지원 유의사항
풀브라이트 장학금은 과거의 학업성취, 공인점수 뿐만 아니라 대외활동, 미래에 기대되는 성취와 사회적 기여 등을 포괄하는 우수성을 기준으로, 미국 대학원 학업과정을 성공적으로 이수할 수 있는 장학생을 선발합니다.
희소 분야 전공, 학교, 학교 소재지역, 해외 경험 등 소수집단을 대표하고 다양성에 기여할 수 있는 지원자를 선호합니다.
서류전형 합격자 대상으로 일대다 면접을 진행하며, 모든 평가는 영어로 이루어집니다.
C. 선발 참고사항
2026년도 선발 예정 인원 OO명
한미교육위원단은 면접 심사위원회의 추천에 따라 수혜후보자를 선발한 후, 모든 심사결과를 Fulbright 장학금 수여에 관한 최종 결정권을 가지고 있는 미국의 풀브라이트 해외장학이사회 (J. William Fulbright Foreign Scholarship Board)에 제출하여 최종승인을 받습니다.
장학생 후보자 선정 결과는 2025년 9월 중 이메일로 통보될 예정입니다.
풀브라이트 해외장학이사회 지침에 따라, 장학 프로그램 합격 또는 불합격에 대한 구체적인 사유는 공개하지 않습니다. (FFSB Policy Section 140 Information to the Public: It is the policy of the Board not to give to individual applicants, to others inquiring on their behalf, or to the public generally, the specific reasons for selection or non-selection of applicants for awards under the program, to the extent not required to do so as a matter of law.)
미국 대학원의 입학 허가를 받은 후 미 국무부 발행 비자 (J-1)가 발급되며, 출국 시점부터 장학금 수혜 효력이 발생합니다.
A. 제출일정
2025. 4. 1 (화) ~ 5. 20 (화) 5pm (KST)
B. 제출처
2026 풀브라이트 이공계 첨단분야 대학원 장학 프로그램 담당자, 서울시 마포구 백범로 28길 23 풀브라이트 빌딩 (04156)
Grant Team (2026 STEM-GSP), Fulbright Building, 23, Baekbeom-ro 28-gil, Mapo-gu, Seoul 04156, Korea
C. 제출서류
지원자는 아래 2 종류의 지원서를 온라인 작성해 제출합니다.
풀브라이트 지원서
한미교육위원단 지원서
두 개의 온라인 지원서를 제외한 모든 구비서류는 하나의 봉투에 담아 접수 마감일시까지 한미교육위원단으로 우편 제출해야 합니다. 우편 제출 시 봉투에 지원자 영문 성명을 반드시 기입하시기 바랍니다.
서류는 접수 마감일시 도착분에 한해 인정되며, 서류 도착 여부는 확인해 드릴 수 없습니다. 구비서류는 등기 발송해 본인이 직접 수신여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Arrival and Departure Date Record 1부
사이트에서 과거 6년간의 미국 출입국 자료를 출력해 다른 구비서류와 함께 우편 제출 (View Travel History 선택)
기록이 없는 경우 해당 페이지를 캡쳐한 파일을 출력해 제출
과거 6년 내에 여권 교체한 이력이 있을 경우, 소지했던 여권 전체에 대한 자료 제출
밀봉/압인 불필요
북한이탈주민 등록확인서 1부 (북한이탈주민 해당)
북한이탈주민 지원 시 등록확인서 첨부
주민등록번호 비식별화 처리해 제출
밀봉/압인 불필요
D. 제출 시 참고사항
모든 증명서는 제출일 기준 과거 3개월 이내에 발급받은 서류여야 합니다.
우편 제출하는 증명서 원본은 발행기관의 공식 봉투를 사용해 공식 봉인돼야 합니다. (예외: 재직 증빙서류, 출입국사실증명서, 북한이탈주민 등록확인서)
주민등록번호가 포함되는 서류는 반드시 주민등록번호를 비식별화 처리해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상의 지원서 작성 안내 및 유의사항을 숙지하여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제출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습니다.
A. 장학금 내역
학비 및 생활비
– 1년차 박사 및 석박사 통합과정 최대 $45,000 (최소금액 $20,000보장), 석사 최대 $55,000 (최소금액 $20,000 보장)
– 2년차 박사 및 석박사 통합과정 최대 $45,000 (최소금액 $20,000보장), 석사 최대 $55,000 (최소금액 $20,000 보장)
– 생활비: 월 $2,831 – $4,300 지급 (소속 대학의 지역 물가 고려해 차등 지급되며, 생활비는 장학금 총액에 포함)
가족수당: 가족 1인 동반 시 월 $200 지급, 2인 동반 시 월 $350 지급
– 매년 거주기간 요건 충족 확인 후 최대 2년간 지급
미국무부 의료보험: 연간 $100,000 상당의 혜택 (장학생 본인에 한해 최대 5년간 제공)
왕복 국제항공권 (본인만 해당)
수화물 지원: $500 (학위과정 종료 후 최종 귀국 시 제공)
– 동반가족 1명 이상일 경우 $700 지원
B. 동반가족 자격
동반가족은 배우자와 자녀에 한하며, 동반자녀는 출국 시 만 21세 미만의 미혼인 경우에만 해당됩니다.
동반가족은 수혜기간의 80% 이상의 기간을 미국에서 수혜자와 동반해야 합니다.
미국 시민권자가 아닌 동반가족은 J-2 비자 발급 자격이 주어집니다. J-2 비자의 미국 거주 기간은 수혜자의 J-1 비자 기간과 동일하며, 체재기간 연장은 불가능합니다.